object

DB

DB (16) OBJECT(TRIGGER)

▶ TRIGGER(트리거) - 내가 지정한 테이블에 INSERT, UPDATE, DELETE등의 DML문에 의해 변경사항이 생길 때(테이블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자동으로 매번 실행할 내용을 미리 정의해둘 수 있는 객체 예시) 회원탈퇴시 기존의 회원테이블에 데이터 DELETE후 곧바로 탈퇴된 회원들만 따로 보관하는 테이블에 자동으로 INSERT처리해야 될 때 신고 횟수가 일정수를 넘었을 때 묵시적으로 해당 회원을 블랙리스트 처리되게끔 한다거나 입출고에 대한 데이터가 기록(INSERT)될 때마다 해당 상품에 대한 재고수량을 매번 수정(UPDATE)해야 될 때 ■ 트리거의 종류 ● SQL문의 시행시기에 따른 분류 BEFORE TRIGGER : 내가 지정한 테이블에 이벤트(INSERT, UPDATE, ..

DB

DB (15) OBJECT(PROCEDURE, FUNCTION)

▶ PROCEDUER(프로시져) - PL/SQL구문을 "저장"해서 이용하는 객체 - 필요할때마다 내가 작성한 PL/SQL문을 편하게 호출이 가능하다. [표현법] CREATE [OR REPLACE] FROCEDURE 프로시져명[(매개변수)] IS BEGIN 실행부분 END; [프로시져 실행방법] EXEC 프로시져명; / ex) -- 프로시져 생성하기 CREATE OR REPLACE PROCEDURE DEL_DATA IS BEGIN DELETE FROM PRO_TEST; COMMIT; END; / -- 프로시져 실행 EXEC DEL_DATA; ■ 매개변수 있는 프로시져 만들기 IN : 프로시져 실행시 필요한 값을 담는 변수(일반적인 매개변수와 동일한 개념) OUT : 호출한 곳으로 되돌려주는 변수(결과값) ..

DB

DB (13) OBJECT(INDEX)

▶ INDEX - 데이터를 빠르게 검색하기 위한 구조, 데이터의 정렬과 탐색같은 DBMS의 성능향상을 목적으로 사용한다. ■ 인덱스의 특징 - 인덱스로 설정한 컬럼의 데이터들을 별도로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특정 메모리 공간에 물리적인 주소(ROWID) 실제 컬럼의 값을 함께 저장시킨다. - 인덱스를 만들었다고 해서 조건절에 인덱스를 활용한 컬럼을 제시했을 때 바로 사용하지는 않는다. - 인덱스를 활용하여 조회할지 안할지는 옵티마이저가 판단한다. ● 현재 계정에 생성된 인덱스들 확인 SELECT * FROM USER_INDEXES; -- PK설정시 자동으로 인덱스 생성됨. ● 현재 계정에 생성된 인덱스와 + 인덱스가 적용된 컬럼을 확인 SELECT * FROM USER_IND_COLUMNS; ■ 인덱스..

DB

DB (12) OBJECT(SEQUENCE)

▶ SEQUENCE(시퀀스) - 자동으로 번호를 발생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객체이다. - 정수값을 자동으로 순차적으로 발생시켜준다. - 시퀀스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위치는 INSERT문의 PK값에 넣을 때이다. ■ 시퀀스객체 생성 구문 [표현법] CREATE SEQUENCE 시퀀스명 START WITH 시작 숫자 => 생략 가능하다. 처음 발생시킬 시작값 기본값은 1 INCREMENT BY 증가값 => 생략 가능하다. 기본값은 1씩 증가, 한번 시퀀스 증가할때마다 몇 씩 증가할 것인지 결정 MAXVALUE 최대값 => 생략 가능하다. 최대값 지정 MINVALUE 최소값 => 생략 가능하다. 최소값 지정 CYCLE/NOCYCLE => 생략 가능하다. 값의 순환여부를 결정한다. 기본값은 NOCYCLE CACH..

DB

DB (11) OBJECT

▶ OBJECT - 데이터베이스를 이루는 논리적인 구조물들 ■ OBJECT의 종류 - TABLE, USER, VIEW, SEQUENCE, INDEX, PACKAGE, TRIGGER, FUNCTION, ... ▶ 뷰(VIEW) - SELECT문을 저장해 둘 수 있는 객체 - 자주쓰일 긴 SELECT문을 VIEW에 저장해두면 매번 긴 SELECT문을 다시 기술할 필요가 없다. - 조회용 임시테이블 같은 존재(실제 데이터가 담겨있는 것은 아니다.) - 해당 계정이 가지고 있는 VIEW들에 대한 내용을 조회하고자 한다면 USER_VIEWS 데이터 딕셔너리를 이용하면 된다. - 생성된 뷰를 이용해서 DML(INSERT, UPDATE, DELETE)사용 가능하다. ※ 주의사항 : 뷰를 통해서 조작하게 된다면 실제 ..

JAVA

JAVA(13) 객체(Object)

▶ 객체(Object) 1. 객체란 사전적 의미로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유형, 무형, 개념, 사물) 2. 객체지향언어란 "객체"를 지향하는 언어로 "객체 중심"으로 돌아간다. 3. 객체지향 프로그램이란 현실세계에서 독립적인 존재들인 객체들 간의 상호작용을 프로그래밍을 통해 가상세계로 구현하는 과정이다. 4. 구현하고자 하는 프로그램 상의 필요한 객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클래스라는 틀을 먼저 만들어줘야 한다. 클래스 : 각 객체들의 속성(정보)들을 담아낼 수 있는 그릇 같은 존재 - 클래스를 보관할 때 보관할 패키지명은 vo(Value Object) - 클래스 만드는 방법 => 1단계 추상화 + 2단계 캡슐화 5. 추상화 과정 1) 내가 구현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에서 필요한 객체들을 생각해..

동동이임
'object'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