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SERT - 테이블에 새로운 "행"을 추가하는 구문 ■ INSERT INTO 계열 1) INSERT INTO 테이블명 VALUES(값1, 값2, 값3, ...); - 해당 테이블에 존재하는 "모든" 컬럼에 대해 추가하고자하는 값을 내가 직접 제시해서 "한 행"을 INSERT하고자할 때 쓰는 표현법 주의사항 컬럼의 순서, 자료형, 개수를 맞춰서 VALUES 괄호 안에 값을 나열해야 한다. 부족하게 제시하면 NOT ENOUGH VALUE 오류가 발생한다. 더 많이 제시하면 TOO MANY VALUE 오류가 발생한다. ex) INSERT INTO EMPLOYEE VALUES (900, '홍길동', '123456-1234567', 'AABBCC@naver.com', 01012345678, 'D1', 'J..
▶ DDL DDL(DATE DEFINITION LANGUAGE) : 데이터 정의 언어 - 오라클에서 제공하는 객체(OBJECT)를 새로이 만들어(CREATE) 구조를 변경하고(ALTER) 구조를 삭제(DROP)하는 명령문이다. 즉, 구조자체를 정의하는 언어로 DB관리자, 설계자가 사용한다. 오라클에서의 객체(DB를 이루는 구조물들) - 테이블(TABLE), 사용자(USER), 함수(FUNCTION), 뷰(VIEW), 시퀀스(SEQUENCE), 인덱스 등등.. ▶ CREATE TABLE 테이블 - 행(ROW), 열(COLUMN)로 구성되는 가장 기본적인 데이터베이스 객체 종류 중 하나이다. - 모든 데이터는 테이블을 통해서 저장된다.(데이터를 조작하고자 하려면 무조건 테이블을 만들어야 한다.) [표현법] ..
▶ 서브쿼리(SUBQUERY) - 하나의 주된 SQL(SELECT, CREATE, INSERT, UPDATE...) 안에 포함된 또 하나의 SELECT문 - 메인 SQL문을 위해서 보조 역할을 하는 SELECT문 ■ 서브쿼리 구문 - 단일행(단일열) 서브쿼리 : 서브쿼리를 수행한 결과값이 오로지 1개일 때(한칸의 컬럼값으로 나올 때) - 다중행(단일열) 서브쿼리 : 서브쿼리를 수행한 결과값이 여러 행일 때 - (단일행)다중열 서브쿼리 : 서브쿼리를 수행한 결과값이 여러 열일 때 - 다중행(다중열) 서브쿼리 : 서브쿼리를 수행한 결과값이 여러 행이면서 여러 열일 때 - 서브쿼리를 수행한 결과가 몇행 몇열이냐에 따라서 사용 가능한 연산자가 달라진다. ■ 단일행(단일열) 서브쿼리(SINGLE ROW SUBQU..
▶ JOIN - 두 개 이상의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같이 조회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구문(SELECT문 이용) - 조회 결과는 하나의 결과물(RESULTSET)으로 나온다. - JOIN을 통해서 연결고리에 해당되는 컬럼들만 제대로 매칭시키면 하나의 결과물로 조회가 가능하다. JOIN을 해야하는 이유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최소한의 데이터로 각각의 테이블에 데이터를 보관하고 있다.(중복을 최소화해서 저장한다.) - 즉, JOIN구문을 이용해서 여러 테이블 간의 "관계"를 맺어서 같이 조회해야 한다. - 단, 무작정 JOIN을 하는 것이 아니라 테이블간에 "연결고리"에 해당하는 컬럼을 매칭시켜서 조회해야 한다. 문법상 분류 : JOIN은 크게 "오라클전용구문", "ANSI(미국 국립 표준 협회)구문"으로..
◆ 그룹 함수 - 데이터들의 합(SUM), 데이터들의 평균(AVG) - n개의 값을 읽어서 1개의 결과를 반환(하나의 그룹별로 함수 실행 결과 반환) ■ SUM(숫자타입컬럼) - 해당 컬럼값들의 총합계를 반환해 주는 함수 ex) -- 전체 사원들의 총 급여 합계 SELECT SUM(SALARY) FROM EMPLOYEE; -- 부서코드가 'D5'인 사원들의 총 급여 합계 SELECT SUM(SALARY) FROM EMPLOYEE WHERE DEPT_CODE = 'D5'; ■ AVG(숫자타입컬럼) - 해당 컬럼값들의 평균을 구해서 반환해 준다. ex) SELECT ROUND(AVG(SALARY)) FROM EMPLOYEE; -- ROUND함수를 이용해 소수점 첫 번째 자리에서 올림처리 해준다. ■ MIN(..